덕트 설계법
제목이 거창해서 기술사 시험 문제 같군요.
1. 먼저 일반적인 덕트 설계순서입니다.
1) 부하계산을 기초로 구획된 각 실의 송풍량을 결정
2) 실용도 맞게 취출구, 흡입구의 위치, 수량, 형식을 결정한다.
3) 송풍기 또는 공조기의 위치를 결정 또는 파악한다.
4) 덕트 방식을 결정한다.
5) 덕트기구 1개당 풍량을 결정한다.
6) 개략적인 덕트 경로를 설정한다.
7) 댐퍼(VD, FD, FVD)등의 부속기구의 부착위치를 결정한다.
8) 덕트의 상세한 치수를 결정한다.
이때 덕트 치수를 구하는 방법을 결정한다. (등압법, 등속법, 전압법, 정압재취득법이 있는 데->등압법을 주로 사용)
9) 덕트계통 전체 저항의 산출
10) 송풍기, 또는 공조기의 사양을 결정한다.
2. 부언설명
1) 덕트기구 결정은 복잡하게 생각할 것 없이 층고가 낮은 경우에는 아네모형을 선정하는 것으로 하면 되며
규격은 150, 200, 250, 300, 350 정도가 있으며, 선정시 풍량과 도달거리, 소음등을 고려하여 선정하게 되는 데 일반적으로 카다록을 정리해 두면 편합니다.
예를 들면 풍량이 250CMH는 150A 라는 정도의 규격을 정해놓으면 편합니다. 물론 특별한 경우는 예외 입니다.
천장이 높다던가등등
2) 그릴, 루버등의 규격 선정법은 조금 다릅니다.
풍량=가로x세로x풍속x(자유면적비)
- 그릴의 경우에는 풍량[CMH]=가로[m]x세로[m]x풍속[4~5]
- 루버의 경우에는 풍량[CMH]=가로[m]x세로[m]x풍속[4~5]
가로, 세로를 구할 경우에는 가로[m]x세로[m]=풍량[CMH]/풍속[4~5]로 구한 다음에 적당한 규격[m]로 나누면 됩니다.
물론 단위는 [m]이므로 주의
[mm]=1000 x m
3) 개당 풍량은 원래 아네모등의 덕트 기구가 담당하는 곳을 원으로 그려서 겹치도록 해야 되는 데, 현장 분들의 경험적으로 배치하세요
각 실당 담당 부하열량을 나누면 더 정확할 수도 있겠습니다.
4) 송풍기 또는 공조기부터 각 실을 가로 지르는 개략적인 덕트 경로를 그립니다. 어렵게 생각할 것 없이 연필 또는 플러스팬으로 죽 그세요.
5) 방화구획이 있으면 FD 또는 FVD를 표시하시고, 풍량 제어가 필요한 곳에는 VD를 표시하세요. 단, 몇개라도 상관없구요. 필요한 만큼 표시하세요.
6) 이제 덕트 치수를 구하는 단계입니다.
- 먼저 덕트 치수를 구하는 방법은 서술한 것처럼 다양한 방법이 있습니다만, 등압법으로 하세요.
어렵게 생각할 것 없고 m당 일정한 압력손실값을 입력합니다.
- 공급덕트(SA, 서플라이덕트) : 0.1mmAq
- 환기덕트(RA, 리턴덕트) : 0.08 , 0.1 mmAq
- 상기의 기준중에 1개를 선택한 후 천장속 높이 제한값을 결정한 후 (예를 들면 500mm 이내등)
풍량[CMH, 60xCMM, 환기회수식등] 과 압력손실 기준값[1 또는 0.1 또는 0.08], 제한 높이[B]를 입력하여 각 실별, 경로별 덕트 규격을 정합니다.
- 등압법으로 하는 이유는 나중에 동력값을 구할 때 간편하기때문입니다.
등속법등 다른 방법을 택하면 아주 복잡해집니다. 물론 제연덕트와 겸용인 경우는 별도의 방법을 써도 무방합니다만, 이 또한 천장속 여유만 있다면 등압법으로 해도 좋을 듯 합니다.
7) 6)번에서 구한 경로별 덕트를 문제가 될 수 있는 몇부분을 검토합니다.
예를 들면, 겹치는 부분은 시공이 안될 수 있습니다.
그럼 이 겹치는 부분만 치수를 바꾸면 됩니다. 물론 방법은
- 상기의 기준중에 1개를 선택한 후 천장속 높이 제한값을 결정한 후 (예를 들면 500mm 이내등)
풍량[CMH, 60xCMM, 환기회수식등] 과 압력손실 기준값[1 또는 0.1 또는 0.08], 제한 높이[B]를 입력하여 각 실별, 경로별 덕트 규격을 정합니다.
8) 동력선정
- 덕트 메져의 동력부분을 실행시킨 후, 송풍기인 경우에는 송풍기 형식을 결정합니다.(예를 들면, 에어포일, 시로코, 인라인팬 등)
- 풍량입력[기본은 CMH]을 합니다.
- 서프라이덕트, 리턴덕트, 또는 임의의 값을 입력합니다.
- 송풍기나 공조기으 덕트 시작점부터 가장 먼 곳의 덕트까지 스케일로 측정을 하여 덕트 길이 입력부분에 입력을 합니다.
(예를 들면, 10+10+2+3.5+6...)
- 굴곡부, 확대부등의 비율을 입력합니다.
임의값이 입력이 가능합니다. (대개 0.5~1.0 범위에서 입력을 많이 합니다.)
- 부착된 덕트 기구의 수량을 입력합니다.
주의 할 것은 가장 먼 덕트에 걸리는 것만 체크합니다. 중간에 가다가 분기한 부분 것은 입력을 하지 마세요.
- 그대로 진행하면 동력이 kW, HP, 전체 압력손실값, 송풍기 호수등이 표시됩니다.
가급적 최종 사양 결정은 제조사와 협의 하세요. 업체간 다소간의 차이가 있습니다.
[출처] [펌] 계산기형 덕트메져로 덕트설계를 해봅니다.|작성자 가물가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