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덕트 압력손실 실험 중 질문이 있어 올립니다. 204x60 사각형상 직관에 대해 실험을 햇습니다. 실험 방법은 풍동설비에 덕트 한곳을 물리고 다른 쪽은 대기압 노출 상태로 놓았습니다. 이상태에서 풍량을 150~400CMH로 땡겨서 그때의 챔버 차압을 측정했습니다. 공식에 의한 대략의 압력 손실치는 0.87mmAq/m 정도입니다. 그런데 시험결과는 아래와같습니다
CMH |
mmAq(길이 2m일때) |
mmAq(길이 0.5m일때) |
v(m/s) |
150 |
1.8 |
1.4 |
3.404139 |
200 |
3.2 |
2.5 |
4.538853 |
250 |
4.9 |
3.9 |
5.673566 |
300 |
7 |
5.6 |
6.808279 |
350 |
9.5 |
7.5 |
7.942992 |
400 |
12.3 |
9.7 |
9.077705 |
여기서 질문~~ 보통 덕트 정압계산할때 보면 보통 *****mmAq/m 로서 표기 되는데 길이가 2m -> 0.5m로 줄었으면 결과가 1/4로 줄어야 하는거 아닌가요??
결과를 보면 약 3/4 수준으로 밖에 줄어들지 않는데... 시험이 잘못된건가요?? 아니면 제가 뭔가 잘못알고 있는건가요??
만약 덕트 압력손실값이 1mmAq/m인 덕트를 100cmh /10mmAq의 성능을내는 전열교환기에 직관으로 10m 설치를 한다면 이 전열교환기에 걸리는 정압은 10mmAq으로 100cmh의 성능을 낼 수 있는건가요?? 제가 뭔가 잘못 알고 있는건지 너무 답답합니다. 답변 부탁드립니다.
출처 : 덕트사랑
글쓴이 : kwon08 원글보기
메모 :